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47)
듀얼·트리플 모니터, 목 안 돌리고 쓰는 법: 시선 동선·커서 일치 세팅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6편: 듀얼/트리플 모니터 시선 동선 최적화멀티 모니터의 진짜 이점은 화면 개수가 아니라 시선 동선과 커서 경로의 일치에서 나옵니다. 물리적 정렬이 맞지 않거나 각도가 과하면 목 회전 총량이 늘고, 커서가 ‘엉뚱한 위치’에서 나타나 인지 비용이 증가합니다. 본 가이드는 듀얼/트리플 구성에서 재현 가능한 정렬·각도·OS 세팅 절차를 제시합니다.1) 역할 정의: 주모니터와 보조모니터를 분리주모니터: 작성/편집/코딩처럼 능동 작업이 이루어지는 화면. 정면에 둔다.보조모니터: 미디어, 미리보기, 레퍼런스, 메신저 등 수동 참조 화면. 측면 배치.원칙: 주모니터에서 보조모니터로의 시선 전환이 목 회전 10~15° 내에서 이뤄지도록 각도·거리 조정.2) 높이·거리 정렬: 중앙 기준으로 ..
눈 피로 줄이는 데스크 조명: 색온도·밝기·눈부심 10분 캘리브레이션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5편: 조명 캘리브레이션모니터 높이와 자세가 완벽해도, 빛이 맞지 않으면 눈은 금방 피로해집니다. 데스크 조명은 색온도, 연색성(CRI), 밝기(조도), 눈부심(글레어)의 네 축으로 설계합니다. 이 글은 장비가 다 달라도 재현 가능한 수치와 절차를 제공합니다. 1) 기본 개념: 색온도·연색성·조도·글레어색온도(K): 낮을수록 따뜻한 빛(노랑), 높을수록 차가운 빛(하양/푸른기). 낮·집중 작업엔 4,000~5,000K가 무난합니다.연색성(CRI): 색 재현력. CRI 90+이면 문서/사진 색판독이 안정적입니다.조도(lux): 표면 밝기. 모니터 앞 책상면 300~500lx가 일반 사무 작업에 적합합니다.글레어(눈부심): 직접·반사 광으로 눈이 피로해지는 현상. 광원 차폐, 각..
스탠딩 데스크, 무릎·허리 안 아프게 쓰는 법: 높이·교대 주기 완전 정리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4편: 스탠딩 데스크 전환 곡선스탠딩 데스크는 “앉음을 대체”하기보다 앉음과 섦을 교대해 자세 다양성을 확보하는 도구입니다. 핵심은 올바른 높이와 무리 없는 교대 주기, 발-하체 부담 분산입니다. 이 가이드는 초보→숙련으로 이어지는 전환 곡선과 즉시 적용 가능한 수치 중심 절차를 제공합니다.1) 스탠딩 기본 원리: 팔꿈치 기준과 시선 각키보드 높이: 팔꿈치 높이와 동일하거나 0~2cm 낮게. 팔꿈치 각도 90~100° 유지.손목: 키보드 평면 또는 약한 음각(negative tilt)으로 손목 신전(위로 꺾임) 방지.모니터 중앙: 눈높이보다 0~5cm 아래, 거리 50~70cm. 상단 뒤로 5~10° 기울임.서 있을 때 어깨가 들리거나 허리가 과도하게 꺾이면 키보드 높이/팔꿈..
랩톱 도킹 한 번에 끝: 화면 눈높이+원케이블 세팅 가이드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3편: 랩톱 도킹 세팅 표준안랩톱 단독 사용은 휴대성이 장점이지만, 모니터 높이와 키보드 높이를 동시에 최적화하기 어렵습니다. 도킹 세팅의 핵심은 화면을 눈높이에 맞추고, 입력은 외부 장치로 분리하는 것입니다. 본 가이드는 거치대 높이, 외부 키보드·마우스, 포트 허브 및 배선까지 포함한 표준 절차를 제시합니다. 1) 도킹의 3요소: 화면·입력·전원/데이터화면: 랩톱 화면을 단독/보조로 어떻게 쓸지 결정(단일·듀얼·클램쉘).입력: 외부 키보드·마우스로 손목 중립과 어깨 이완 확보.전원/데이터: 허브/독으로 원케이블 연결(전원·영상·USB 동시 처리).2) 거치대 높이 공식: 중앙=눈높이보다 0~5cm 아래목 부담 최소화를 위해 랩톱 화면 중앙이 눈높이보다 0~5cm 아래가 되..
케이블 스트레스 끝: 원케이블 도킹·전력 예산·트레이 정리 가이드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8편: 케이블·전원 인프라 표준좋은 세팅도 케이블 한 가닥이 당기거나 전원 예산이 모자라면 무너집니다. 본 가이드는 전력 예산 설정, USB-PD 규격 이해, 라벨링/트레이로 유지보수 비용을 0에 가깝게 만드는 표준 절차를 제공합니다. 목표는 “상판 승강·도킹/언도킹·이동” 시에도 한 번에 연결되는 안정성입니다. 1) 전력 예산: 어댑터 W 합산과 여유율장비 리스트업: 모니터, 랩톱, 허브/독, 스피커/오디오, 조명, 충전기(폰/태블릿) 등 정리.정격 합산: 각 장비의 권장 출력(W)을 합산한 뒤 여유 30%를 추가한 총 전력으로 멀티탭/UPS 용량을 결정.예: 랩톱 90W + 모니터 35W + 독 15W + 조명 10W = 150W → 여유 포함 200W 이상 채널 구성.2..
타이핑 피로 확 줄이는 법: 키보드 각도 조절로 손목 중립 찾기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2편: 키보드 각도와 손목 중립인체공학 세팅에서 손목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손목 신전/굴곡의 누적과 요측/척측 편위(좌우로 꺾임)입니다. 본 가이드는 키보드의 전후 각도, 좌우 각도(텐팅), 배열 선택, 팜레스트 사용법을 단계적으로 조정해 중립 손목을 만드는 절차를 제공합니다.1) 손목 중립의 정의와 검사 방법중립 손목: 손등과 전완이 일직선이며, 위/아래(신전/굴곡)와 좌/우(편위)로 과도하게 꺾이지 않은 상태.자가 검사: 타이핑 자세에서 옆에서 보았을 때 손등-팔이 직선에 가깝고, 위에서 보았을 때 손목이 좌/우로 벌어지지 않는지 확인한다.증상 신호: 타이핑 후 손목 앞(굴곡건) 또는 뒤(신전건)에 타는듯한 느낌, 손가락 끝 저림, 새끼손가락 쪽 당김.2) 전후 각도 ..
“목·어깨 뻐근함 줄이는 책상 세팅: 의자·모니터 높이 맞추기”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1편: 의자와 모니터 높이의 기준값 설정인체공학 세팅의 출발점은 “몸-의자-모니터”의 수직 정렬입니다. 키나 팔 길이가 달라도 적용 가능한 기준값과 순서만 알면 30분 내에 초안 세팅을 끝낼 수 있습니다. 이 글은 장비가 다르더라도 재현 가능한 수치 중심 절차를 제공합니다.1) 준비물과 측정 기준자(또는 줄자) 1개두께 3~5cm 책 1~2권(높이 미세 조정용)평평한 신발(두꺼운 슬리퍼·굽 있는 신발은 비추천)모니터 중앙 높이: 화면 위·아래의 중간점눈높이: 편안히 정면을 볼 때 수평선과 만나는 지점측정은 앉은 자세에서 진행합니다. 허리를 등받이에 살짝 붙이고, 어깨에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가 기준입니다.2) 의자 높이: 발-무릎-엉덩이의 삼각 정렬첫 단계는 의자입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