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(10) 썸네일형 리스트형 타이핑 피로 확 줄이는 법: 키보드 각도 조절로 손목 중립 찾기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2편: 키보드 각도와 손목 중립인체공학 세팅에서 손목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손목 신전/굴곡의 누적과 요측/척측 편위(좌우로 꺾임)입니다. 본 가이드는 키보드의 전후 각도, 좌우 각도(텐팅), 배열 선택, 팜레스트 사용법을 단계적으로 조정해 중립 손목을 만드는 절차를 제공합니다.1) 손목 중립의 정의와 검사 방법중립 손목: 손등과 전완이 일직선이며, 위/아래(신전/굴곡)와 좌/우(편위)로 과도하게 꺾이지 않은 상태.자가 검사: 타이핑 자세에서 옆에서 보았을 때 손등-팔이 직선에 가깝고, 위에서 보았을 때 손목이 좌/우로 벌어지지 않는지 확인한다.증상 신호: 타이핑 후 손목 앞(굴곡건) 또는 뒤(신전건)에 타는듯한 느낌, 손가락 끝 저림, 새끼손가락 쪽 당김.2) 전후 각도 .. “목·어깨 뻐근함 줄이는 책상 세팅: 의자·모니터 높이 맞추기” 데스크 인체공학 캘리브레이션 1편: 의자와 모니터 높이의 기준값 설정인체공학 세팅의 출발점은 “몸-의자-모니터”의 수직 정렬입니다. 키나 팔 길이가 달라도 적용 가능한 기준값과 순서만 알면 30분 내에 초안 세팅을 끝낼 수 있습니다. 이 글은 장비가 다르더라도 재현 가능한 수치 중심 절차를 제공합니다.1) 준비물과 측정 기준자(또는 줄자) 1개두께 3~5cm 책 1~2권(높이 미세 조정용)평평한 신발(두꺼운 슬리퍼·굽 있는 신발은 비추천)모니터 중앙 높이: 화면 위·아래의 중간점눈높이: 편안히 정면을 볼 때 수평선과 만나는 지점측정은 앉은 자세에서 진행합니다. 허리를 등받이에 살짝 붙이고, 어깨에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가 기준입니다.2) 의자 높이: 발-무릎-엉덩이의 삼각 정렬첫 단계는 의자입.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