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습은 실내 식물 관리 실패 원인 1순위입니다. 본 가이드는 ‘루틴 급수’가 아닌 상태 분석 기반 급수법을 수치화해, 누구나 안정적으로 과습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.
1) 급수 기본 원칙
- 상태 기반: 날짜가 아니라 흙·무게·색 변화를 기준으로 판단
- 하부 배수: 물은 흙 전체(80~100%) 적신 후, 받침 물은 즉시 제거
- 변동 최소화: ‘많이·안 주다’보다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 공급
2) 손가락 테스트 (Depth Test)
- 측정 방법: 손가락을 흙 속 2~3cm 삽입 → 촉감 확인
- 기준:
- 촉촉 → 급수 지연
- 세미드라이(겉은 건조, 속은 약간 촉촉) → 1~2일 관찰 후 공급
- 완전 건조(거칠고 가벼운 감촉) → 즉시 급수
3) 무게 테스트 (Weight Calibration)
- 측정 방법: 화분을 들어 무게 비교 (급수 직후 vs 건조 상태)
- 평균 수치:
- 소형(직경 12cm) → 약 150g 차이
- 중형(직경 20cm) → 약 300~400g 차이
- 활용: 초보자는 전자 저울(±10g 정확도) 병행 시 오차 최소화
4) 토양색 테스트 (Color Signal)
- 측정 방법: 흙 표면 색 변화 관찰
- 기준:
- 진한 갈색 → 수분 충분, 급수 불필요
- 옅은 회갈색 · 균열 발생 → 표층 건조, 하부 상태 점검 필요
- 완전 회백색 · 먼지날림 → 전면 건조, 즉시 급수
5) 종합 매뉴얼 — 단계별 점검 순서
- 손가락 2~3cm 삽입 → 촉감 확인
- 화분 들어서 무게 측정 → 최근 기록과 비교
- 표면 토양색 확인 → 짙은 갈색 vs 옅은 갈색 vs 회백색
※ 세 가지 모두 건조 신호 → 즉시 급수, 하나라도 습윤 신호 → 1~2일 관찰 연장
6) 급수량 가이드라인
- 소형 화분(∅12cm) → 200~250ml
- 중형 화분(∅20cm) → 400~500ml
- 대형 화분(∅30cm↑) → 800~1000ml 이상 (토양 혼합 배수성 따라 조정)
※ 원칙: 화분 바닥 배수구에서 소량의 물이 흘러나올 정도가 ‘충분 급수’ 기준.
7) 문제-원인-대응 매핑
- 잎 끝 갈변: 흙 건조 과다 → 급수 간격 축소, 무게 테스트 우선 적용
- 잎 처짐·노랗게 변함: 과습 → 급수 중단 5~7일, 토양 표면 송진분(곰팡이) 제거
- 성장 정체: 불규칙 급수 → 손가락 테스트 + 저울 기록 루틴화
8) 유지·리뷰 루틴
- 일일: 토양 표면 색만 간단 확인
- 주간: 무게·급수 간격 기록, 표준화된 주기 개발
- 월간: 기록 대비 실제 생육 반응(잎색·신엽 발생) 검증
작성자 노트: 손가락·무게·토양색 ‘3대 기준’을 활용하면, 자주 물을 주지 못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식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 4편에서는 분갈이 캘리브레이션(시기, 화분 크기·배수층 설계)을 다룹니다.
'실내 식물 키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잎이 노래지거나 축 처질 때: 과습/건조/광부족 증상 구분과 해결법 (1) | 2025.08.25 |
---|---|
초보도 잘 키우는 실내 식물 10가지: 생육 특성·관리 체크리스트 (2) | 2025.08.25 |
분갈이 이렇게 하면 쉽다: 시기 판단, 화분 고르는 법, 배수층 만들기 (2) | 2025.08.25 |
집 방향별 실내 식물 추천: 북향·동향·남향·서향 배치와 관리 포인트 (1) | 2025.08.25 |
실내 식물 키우기 기본 가이드: 빛·물·통풍 3요소 제대로 이해하기 (3) | 2025.08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