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내 식물의 성장 성공률은 빛 유입 방향에 크게 좌우됩니다. 본 가이드는 북향·동향·남향·서향 창 방향을 기준으로, 적합한 식물군과 관리 보정값(급수/광량/차광)을 체계적으로 제시합니다.
1) 방향별 빛 환경 요약
- 북향: 연중 직사광 부족, 지속 광량 저조 (50~200 lux 수준이 일반적)
- 동향: 오전 직광(부드럽고 짧음), 오후엔 간접광 위주
- 남향: 하루 6~8시간 이상 직광 가능, 광량 과잉 주의
- 서향: 오후 2~5시 강렬한 직사광, 열 스트레스 위험
2) 추천 식물군 — 방향별 매칭
- 북향:
- 스킨답서스, 산세베리아, 아이비 → 광요구도 낮음
- 관리 포인트: 생장등 보조 6~8시간 필수, 급수는 화분 건조 주기 +3일 여유
- 동향:
- 칼라데아, 스파티필룸, 필로덴드론 → 오전만 직광, 잎 손상 적음
- 관리 포인트: 오전 직광 3시간 활용, 오후 무광 시 생장등 2~3시간 추가
- 남향:
- 몬스테라, 유칼립투스, 로즈마리(허브류) → 고광량 선호종
- 관리 포인트: 여름철 커튼·암막으로 30~50% 차광, 급수 주기는 평균치 대비 -2일 단축
- 서향:
- 다육·선인장류, 고무나무, 벤자민 고무 → 강광·고온 적응종
- 관리 포인트: 오후 직광은 유리창 차열필름·화이트 커튼 사용, 화분 위치는 창에서 50~100cm 후퇴
3) 조정 매뉴얼 (방향 기반 보정)
방향 | 광량 보정 | 급수 보정 | 차광/보조 |
---|---|---|---|
북향 | 생장등 +200~500 lux 추가 | 기본주기 +2~3일 | 차광 불필요 / 보조조명 필수 |
동향 | 오전 직광 2~3h 확보 | 기본주기 유지 | 보조조명 오후 2~3h |
남향 | 자연광 충분 (600~1000 lux↑) | 기본주기 -2일 | 차광률 30~50% 필요 |
서향 | 오후 직광 3~4h → 과다 | 기본주기 ±0일 | 열 차단 필름·커튼, 화분 50cm 후퇴 |
4) 점검 체크리스트 (루틴 적용)
- 광원 확인: 오늘 창문 방향별 직·간접광 노출시간 기록
- 보조조명 필요 시, 광량계 앱 or lux meter로 200~800 lux 맞춤
- 잎 손상 평가: 갈변·광과다 점 시간대 기록 (특히 서향·남향)
- 급수 조정: 동일 화분이라도 방향별 간격(±2~3일)로 교정
5) 문제-원인-대응 매핑
- 북향에서 웃자람: 빛 부족 → LED 성장등 20~30cm 거리/6시간 추가
- 남향 잎 끝 갈변: 과광+건조 → 차광 40%, 물주기 주기 단축
- 서향 잎 따가운 반점: 오후 직광 과열 → 창필름 부착, 화분 창가→내부 1m 이동
- 동향 서서한 성장: 오후 빛 부족 → 보조조명 오후 3시간 강화
6) 유지·리뷰 루틴
- 일일: 창 방향 따라 빛 유입 시간 기록 (lux meter or 앱 활용)
- 주간: 같은 종을 다른 방향 화분에 두고 생장 차이 비교 기록
- 계절: 태양 고도에 따라 차광·보조광 세팅 계절별 업데이트
작성자 노트: 방향은 “빛·물·통풍”을 응용한 첫 번째 변수입니다. 식물별 기본 요구량과 건물의 채광 조건을 교차 비교해야 실질적인 성과가 납니다. 3편에서는 급수 타이밍 캘리브레이션(손가락 테스트·토양 무게·색 기준)을 다룰 예정입니다.
'실내 식물 키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잎이 노래지거나 축 처질 때: 과습/건조/광부족 증상 구분과 해결법 (1) | 2025.08.25 |
---|---|
초보도 잘 키우는 실내 식물 10가지: 생육 특성·관리 체크리스트 (2) | 2025.08.25 |
분갈이 이렇게 하면 쉽다: 시기 판단, 화분 고르는 법, 배수층 만들기 (2) | 2025.08.25 |
물주기 타이밍 잡는 법: 과습 없이 키우는 손가락 테스트·무게·토양색 기준 (0) | 2025.08.25 |
실내 식물 키우기 기본 가이드: 빛·물·통풍 3요소 제대로 이해하기 (3) | 2025.08.25 |